1. ISP
원말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을 가리킵니다.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키며 대게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기업 혹은 비영리 공동체가 됩니다. ISP는 접속ISP, 호스팅ISP, 통행ISP로 나뉩니다. 접속ISP는 유선이나 무선장치를 통해 클라이언트들을 인터넷에 연결해주며, 호스팅ISP는 다른 이들에게 서버 공간을 빌려줍니다. 그리고 통행ISP는 호스팅ISP와 접속ISP를 연결하는 대량의 대역을 제공합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들은 다양한 기술을 이용해 사람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2.NAT
원말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가리킵니다. IP packet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지칭합니다. NAT기술은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즉, 내부 망에서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고, 외부망과의 통신시에는 NAT를 거쳐 공인 IP 주소로 자동 변환 합니다. 이는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었으며, 주로 비공인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망에서 위부의 공인망과의 통신을 위해 네트웍주소를 변환한 것입니다. 다만 NAT가 호스트 간의 통신에 있어서 복잡성을 증가시켜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변환방식으로는 Full-cone NAT, (Address)-restricted-cone NAT, Port-restricted coneNAT, Symmetric NAT이 있습니다.
3. DHCP
원말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가리킵니다. 호스트 IP 구성 관리를 단순화하는 IP 표준입니다. 즉, 대규모의 기업과 같이 많은 디바이스를 관리해야할 경우, IP를 지정해서 사용할 때 IP관리가 힘들수 있습니다. 따라서 DHCP를 사용하여 서버에 설정되어있는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 받는 것으로 쉽게 IP를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즉, DHCP 서버를 사용하여 IP 주소 및 관련된 기타 구성 세부 정보를 네트워크의 DHCP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동작 원리는 크게 네 단계로(discover, offer, request, ack) 단말과 서버 간에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DHCP 서버에서 모든 IP가 할당되므로 서버가 다운되면 IP할당이 안되어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4. Congestion
congestion(혼잡) 은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정보 통신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정보 소통량(패킷 수)으로 인한 네트워크 혼잡을 뜻합니다. 정보 소통량이 과다하면 네트워크가 congestion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congestion을 컨트롤하는 것을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이라고 하며 정보 소통량을 조절하여 네트워크가 혼잡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만약 정보 소통량이 과다하면 패킷을 조금만 전송하게 하여 혼잡 붕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Transport layer의 TCP가 대표적으로 혼잡제어 기능을 처리합니다.
5. DNS
원말로 도메인 네임 시스템(domain name system) 혹은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을 가리킵니다.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특정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IP주소로 변환해 줍니다. DNS는 앞서 설명한 시스템 자체를 가리키키도하고 이러한 역할을 하는 서버컴퓨터를 (domain name server)를 가리키기도합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에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IP주소를 알아야하는데 Domain name server가 도메인에 연결된 IP주소를 찾아 줍니다.
6. HTTP / HTTPS
원말로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을 가리킵니다. http는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주로 html문서를 주고 받는데 사용됩니다.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웹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주로 TCP를 사용하고 HTTP/3 부터는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http는 단순 텍스트를 사용하기에 보안에 취약합니다. https는 이러한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입니다. Https는 통신의 인증과 암호화를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전자 로그인에서 널리 쓰입니다. 소켓 통신에서 일반 텍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SSL이나 TLS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기본 TCP/IP 포트는 443입니다.
7. NIC
원말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etwork interface controller)를 가리킵니다.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입니다. 케이블에 데이터를 실어서 허브,스위치,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거나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고 케이블과 컴퓨터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를 주고 받아주는 장치입니다.
8. MAC
IP주소를 logical 주소라고 한다면 Mac 주소는 physical 주소라 합니다. Media access control 의 약자로 맥 주소라고도 합니다. 맥주소는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입니다. 앞서 설명한 NIC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들이 하나씩 가지고 있는 유일하고 고정된 48bit 주소입니다.
9. LAN / MAN / WAN
LAN, MAN, WAN 은 각각 네트워크를 크기에 띠라 분류하는 단어입니다. 각각 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 metropolitan area network(도시 지역 통신망), wide area network(광역통신망)의 약어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LAN < MAN < WAN 순서로 네트워크의 범위가 커집니다. 예를 들자면 LAN단위에서는 집, 사무실, pc방, MAN단위에서는 한개 도시정도의 크기, WAN단위에서는 그보다 큰범위(MAN이 모여서 형성 혹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벗어나 라우터간의 통신이되는 모든 영역)가 됩니다. 네트워크를 크기에 따라 분류한 이유는 트래픽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10. SSL / TLS
원말로 TLS는 전송 계층 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 SSL은 보안 소켓 레이어(secure sockets layer)을 가리킵니다. TLS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통신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암호규약이며 SSL이 표준화가 되면서 TSL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TSL은 인터넷과 같이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되며, 통신 과정중 전송계층 종단간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해줍니다. 웹 브라우징, 전자 메일, 인스턴트 메신저, VoIP와 같은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크게 3단계 기본 절차가 있으며 1. 지원 가능한 알고리즘 서로 교환 2. 키 교환, 인증 3. 대칭키 암호로 암화하하고 메시지 인증 단계를 거칩니다.
11. Stream-oriented /Chunk-oriented
우선 단어의 뜻을 생각해보면 stream은 시냇물과 같은 데이터 줄기(열,집합), chunk는 데이터 덩어리(조각)을 의미합니다. stream-oriented는 말그대로 스트림 지향이며(cs에서 stream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일련의 데이터 요소를 가리키는 수많은 방식에서 쓰임.) 스트림 지향 프로토콜(TCP)가 있습니다. TCP는 transport layer에 해당되는 프로토콜로서 IP와 함꼐 TCP/IP를 구성합니다. TCP는 stream-oriented 로써 상위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세그먼트라고하는 적절한 패킷 단위로 스트림을 나눕니다. 세그먼트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 목적지 TCP에 의해 재조립됩니다. 즉, 큰 줄기로 데이터가 들어와 쪼개지더라도 순서를 유지한채 다시 큰 줄기로 합쳐집니다. 반면 chunk-oriented 는 패킷으로 쪼개져서 각각의 패킷(chunk)이 독립적인 관계를 가져 각각의 패킷은 다른경로로 전송되어 최초의 순서와 상관없이 각각의 패킷(chunk)이 독립적으로 목적지에서 재조립됩니다. 앞서 설명한 TCP와 비교하여 UDP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12. E2E communication
E2E 는 End to end를 의미하며 단어 그대로 해석해보면 끝에서 끝까지 통신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네트워크 상에서 우리가 원하는 host에 바로 연결하면 좋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router들을 거쳐야합니다. 우리가 전송, 혹은 전달 받고자 하는 데이터가 정확하게 끝(end)에서 끝(end)으로 주고받는 것을 E2E communication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e2e communication을 하기위한 원칙을 엔드 투 엔드 원칙(e2e principle)이라 합니다. e2e principle은 컴퓨터 네트워킹의 디자인 프레임 워크이며 이 원칙에 따라 설계된 네트워크에서 응용 프로그램 별 기능은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해 존재하는 게이트웨이 및 라우터와 같은 중간 노드가 아닌 네트워크의 통신 끝 노드에 있습니다.
13. AS (Autonomous System)
자율 시스템(AS)은 인터넷에서 동일한 관리자에 의해 여러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을 동일한 정책을 통해 관리되는 라우터들과 서브네트워크 들의 집합입니다. 즉, 하나의 관리 통제 하에 있는 영역을 뜻합니다. 네트워크는 라우팅 정책의 독립성, 보안 유지, 고장 및 오류의 국지화, 트래픽양 최소화등을 위해 AS에 의해 분리됩니다.